-
난임연구실난임부부의 진단, 치료 및 새로운 치료방법의 연구를 통해
난임의 더 많은 극복을 위해 매진하고 있습니다. -
난임전문 클리닉난임부부의 진단, 치료 및 새로운 치료방법의 연구를 통해
난임의 더 많은 극복을 위해 매진하고 있습니다. -
난임연구실난임부부의 진단, 치료 및 새로운 치료방법의 연구를 통해
난임의 더 많은 극복을 위해 매진하고 있습니다.
다음 셋 중 두 가지를 만족할 경우 다낭성 난소 증후군으로 진단합니다.
Criteria for Diagnosis of PCOS
PCOS definition NIH 1990 |
Patients demonstrates both: 1. Clinical/biochemical signs of hyperandrogenism 2. Oligo-or chronic anovulation |
Rotterdam Criteria 2003 |
Two of the following three manifestation: 1. Hyperandrogenism 2. Irregular or absent ovulation 3. PCO on USG |
AES Criteria 2006 |
Patients demonstrates both: 1. Hirsutism and/or Hyperandrogenemia 2. Oligo-anovulation and /or PCO |
Rotterdam : broadened the clinial spectrum of PCOS, 1+3, 2+3
Rotterdam Criteria : current internationally accepted criteria
AES : 25 follicles rather than 12
2003 Rotterdam criteria , 4 phenotypes of PCOS
1.Classic : 2. 3. 4. |
H hyperandrogenism H A H A |
O ovulation disorder OD OD |
P polycystic ovary PCOM PCOM |
2003년 Rotterdam기준은 4가지 subtype이 있는데, 4번째 유형이 가장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즉 남성호르몬과다없이 생리불순과 PCO pattern만 있는 경우 장기적으로 다른 세 가지 유형과 예후가 다른데, 같은 PCO로 진단하는 게 옳으냐하는 지적이고. 이것을 배제한 진단기준이 2006년 AES기준입니다.
Richard S, Legro 교수는 ‘남성호르몬과다가 없는 PCOS는 PCOS가 아니다’ 라는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이런 비판에도 불구하고 현재 임상적 유용성면에서 2003년 기준이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현재 PCOS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되는데, PCOS를 대사이상 (metabolic disorder)으로 보는 그룹에서는 인슐린저항성과 남성호르몬과다에 강조하며 T2DM과 CVD 가능성에 주목하고, 배란장애 (reproductive disorder)로 보는 그룹은 HPO axis이상과 그에 따른 배란장애를 강조하며 경구피임약과 배란유도를 치료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2012년 NIH workshop에서는 PCO라는 이름이 지난 1935년에 명명되었고, 현재시점에서 보면 병의 본질적인 부분과도 거리가 있다고 보아, 새로운 이름을 제안하기도 했는데 “Metabolic reproductive syndrome”(MRS by Sheila E. laredo, MD. University of Toronto)이 거론되었으나 실제 변경까지는 이르지 못했습니다.
Adolescent PCOS | RAdult PCOS | Perimenopause / Menopause PCOS |
---|---|---|
Hyperandrogenism |
Androgen Excess Ovulatory dysfunction PCO |
Oligomenorrhea PCO - less likely |
Insulin Resistance Obesity MI, Hirsutism, Acne |
Impaired OGTT T2DM, Dyslipidemia IR, Obesity Infertility |
Cardiovascular disease Endometrial cancer |
그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증가된 뇌하수체의 호르몬과 남성 호르몬이 정상적인 난소 기능을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정상 여성의 경우 생리 주기 초기에 FSH(난소 자극 호르몬)의 영향으로 난자를 가진 난포 한 개가 난소에서 자랍니다. 그러나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에서는 난소를 포함하지 않는 난포가 여러 개 자라 정상적인 배란을 방해합니다. 따라서 배란의 과정에 동반되는 여러 호르몬의 변화가 정상적으로 일어나지 않아 호르몬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고 남성 호르몬의 증가가 일어납니다.
배란을 하지 않으면 월경이 불규칙하게 되는데 이 때, 자궁 내막이 두꺼워질 수 있고 이것은 자궁내막 증식증 또는 자궁내막암의 위험도가 증가될 수 있습니다.
턱, 목, 가슴 및 복부 위쪽에 체모가 증가되거나 남성형 탈모를 보일 수 있습니다.
약 50%의 다낭성 난소 증후군 여성에서 체중증가 및 비만의 증상을 보입니다.
많은 다낭성 난소 증후군 여성들은 배란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임신이 좀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6-12개월 정도 임신을 시도한 후 난임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증상들은 사춘기에 나타나기 시작하지만 성인이 되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